728x90
기본적으로 컴퓨터(서버)에는 IP주소가 있어서 인터넷을 통해 웹 서버에 접속하여 웹 사이트를 볼 수 있다.
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의 주소 창에 URL을 집적 입력하면 웹 사이트가 보이게 된다.
여기서 잠깐!
컴퓨터(서버)에 접속하려면 IP주소를 입력해야 하는데 여기서는 https://www.naerv.com 을 입력했다.
IP주소가 아닌데도 웹 사이트가 보이게 되는것이다.
DNS는 바로 URL을 IP주소로 변환하는 시스템이다.
IP주소는 222.235... 같이 숫자로 구성되어있다.
예를 들어 웹 페이지를 방문하기 위해 www.naver.com대신 위와 같은 숫자로 구성된 IP주소를 입력해야한다면 사람들이 기억하기 쉬울까 ? 그렇지 않을것이다.
이런 이유로 https://www.naver.com 과 같은 주소를 사용하여 접속하도록 돕는 것을 DNS의 이름해석(name resolution) 이라고 한다.
www.naver...로 접속하면 DNS서버가 이 웹사이트 서버의 IP주소를 알려주는 것이다.
www.naver.com 과 같이 컴퓨터나 네트워크를 식별하기 위해 붙여진 이름을 도메인 이름 이라고 하고, 도메인 이름 앞에 있는 www는 호스트 이름(서버 이름)이라고 한다.
처음엔 웹 사이트의 IP주소를 모르기에 DNS서버에 요청하여 먼저 IP주소를 확인한다ㅣ.
728x90
'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'모두의 네트워크' 후기 (0) | 2021.09.08 |
---|---|
[Network] OSI 모델의 계층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과 기술 (0) | 2021.09.05 |
[Network] 응용계층 (0) | 2021.09.05 |
[Network] 애플리케이션과 포트번호 (0) | 2021.09.05 |
[Network] TCP의 구조 (0) | 2021.08.28 |